핑크 플로이드의 벽(더월) 개봉 : 1999년 05월 22일
/10
Reviews
Rate This Movie:
이 영화를 보지 않고 20세기를 그냥 마감할 수 없다! -스토리 텔링이 아닌 뮤직텔링(Music elling) 이 영화는 특별한 영화스토리가 존재하지 않고 있다. 존재하는 대화도 거의 없다. 이 영화에 존재하는 것은 오직 흐르는 음악뿐이다. 로저워터스의 자전적 이야기를 토대로한 앨범 The Wall 의 음악이 그대로 적용되어 메시지를 전달하여 영화속 세계로 빠져들게 한다. -사회성 강한 주제의식 핑크플로이드의 The Wall 에서 상징적으로 등장하는 벽은 핑크라는 주인공이 사회적 억압요소에 외쳐대는 비판의 소리이다. 핑크에게서 아버지를 빼앗고 어머니의 과잉보호를 받아 홀로 서지 못하게 한 전쟁, 마약과 섹스로 얼룩진 부조리한 사회의 모습들, 전쟁과 파시즘등의 환경들이 한 인간을 사회로부터 어떻게 좌절시켰는지 독설어린 비판을 하고 있다. 특히 이 영화에서 가장 강하게 비판하고 있는 획일화된 교육, Another brick in the wall 은 서태지의 교실이데아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. 거짓 교육은 싫어요. 꼭두각시 교육은 싫어요. 무지한 교육으로 조롱하지 말아요. 선생님, 우릴 그냥 나둬요 -'핑크플로이드의 벽 中' 됐어 이제 됐어, 그런 가르침은 됐어, 그걸로 족해 족해 이젠 족해 -'교실이데아 中' -17년만에 지각 상영되는 이유 이 영화가 지닌 反전쟁, 反파시즘, 反획일화 교육 현실 등 사회비판적인 저항요소들이 이 영화의 수입을 17년 동안이나 묶어 두었다. 그러나 국민의 정부가 들어선 이후 문화에 대한 다양한 실험 정신이 인정되면서 마침내 이 놀라운 영화를 완전 NO CUT FILM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. The wall 의 국내상영이 갖는 의미 82년 제작당시 영국의 경제상황과 흡사한 오늘의 한국. 82년 핑클플로이드의 벽 이 만들어졌을 당시 영국은 경제공항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와 대량의 실업사태로 IMF체제하의 혼란속에 있었다. 이 영화는 이처럼 경제공항을 맞아 혼돈속에 존재하는 영국국민들의 인간성 상실 과정을 여실히 드러내 주었다. 그리고 17년 뒤인 1999년 한국의 상황역시 IMF체제로 인한 대량의 실업사태, 국가적위기에 똑같이 처해있다. 영국에서 이 영화가 개봉되어 그들의 현실을 바로 인식하고 새로운 희망의 길을 찾은 것 같이 한국에서도 우리들의 모습을 돌이켜보며 희망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.
Videos & Photos
cast
User reviews
See All 0 Reviews
감독:
장르:
드라마,공연
개봉일:
1999-05-22
러닝타임:
95 min
스탭:
로저 워터스 (각본, ) 스티번 오로크 (기획, ) 피터 비지오우 (촬영, ) 게리 햄블링 (편집, ) 러버트 에츠린 (음악, ) 데이빗 길모어 (음악, ) 닉 메이선 (음악, ) 로저 워터스 (음악, ) 리차드 S. 라이트 (음악, ) 크리스 버킷 (미술, ) 클린튼 캐버스 (미술, ) 브라이언 모리스 (미술, ) 러버트 에츠린 (사운드(음향), ) 데이빗 길모어 (사운드(음향), ) 닉 메이선 (사운드(음향), ) 로저 워터스 (사운드(음향), ) 리차드 S. 라이트 (사운드(음향), )
연령제한:
제작국가:
미국
배급:
메트로-골드윈-마이어 , 골드크리스트 필름 인터내셔널 , 틴 블루 ,